재테크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라면 단리와 복리는 꼭 알아야 할 개념입니다. 단리와 복리는 돈을 불리는 방식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. 단리와 복리의 개념을 알아보고, 간단한 예시를 통해 이해해 봅시다.

단리란 무엇인가?
단리(單利)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. 단리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.
단리 공식 : 이자 = 원금 × 이율 × 기간
예를 들어, 100만 원을 연이율 5%로 투자한다고 해보겠습니다. 1년 뒤에는 이자 5만 원이 발생해서 총 105만 원이 됩니다. 여기서 단리는 그다음 해에도 같은 방식으로 이자가 계산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. 다시 100만 원의 원금에만 5%가 적용되어, 또다시 5만 원이 생기고, 2년 뒤에는 총 110만 원이 됩니다.
이렇게 계산하면, 투자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매년 받는 이자는 일정합니다.
복리란 무엇인가?
복리(複利)는 원금뿐 아니라 그동안 발생한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. 즉, 시간이 지나면서 이자가 점점 더 많이 쌓이게 됩니다. 복리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.
복리 공식 : 총액 = 원금 × (1 + 이율)ⁿ / 'n'은 기간(연수)입니다.
예를 들어, 100만 원을 연이율 5%로 투자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복리 이자는 1년 뒤에 105만 원이 되지만, 2년째에는 원금 100만 원에 더해서 첫 해의 이자 5만 원에도 이자가 붙습니다. 그래서 2년 뒤에는 총 110만 2,500원이 됩니다. 해가 갈수록 이자가 더 많이 붙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큰 차이가 생깁니다.
복리의 핵심은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 자체가 이자를 더 많이 발생시키는 구조라는 점입니다.
단리와 복리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기
쉽게 말하면, 단리는 계단을 오르는 것과 비슷합니다. 매년 같은 양만큼의 이자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. 반면에 복리는 눈덩이를 굴리는 것과 같습니다. 시간이 지날수록 더 빠르게 불어나기 때문입니다. 투자 기간이 짧다면 단리와 복리의 차이가 크게 느껴지지 않을 수 있지만, 장기 투자에서는 그 차이가 엄청나게 커지게 됩니다.
간단한 예시를 통해 이해해 보자
다시 100만 원으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.
10년 동안 5% 이자를 단리 방식으로 받는다면, 총 이자는 50만 원이 되어 10년 후에는 150만 원이 됩니다.
반면, 같은 조건에 복리로 투자한다면 10년 후에는 약 162만 9천 원이 됩니다. 시간이 지날수록 그 차이가 매우 커집니다.
단리와 복리는 재테크의 기본 중 하나의 개념입니다. 이것을 이해하는 것부터 재테크 공부의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. 단리는 비교적 단기간에 고정된 수익을 기대할 때 적합하고, 복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더 큰 자산을 만드는 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장기 투자에서는 복리의 효과가 더 커지므로 시간의 힘을 활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. 재테크를 시작할 때, 본인이 설정한 목표와 투자 기간에 맞춰서 단리와 복리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